<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발전계획 >
□ 중장기 비전ㆍ계획
|
|
|
21C형 교육을 선도하는 종합지원센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C형 교육전문가 양성 |
|
교육정책 씽크탱크 |
|
교육종합질관리 센터 |
|||||||||||||
∙1단계: 중부권 종합교사양성대학으로 발전 |
|
∙1단계: 지방 교육 발전 모델의 개발 및 제시 |
|
∙1단계: 정보 공시제 지원 체제 구축 |
|||||||||||||
|
∙2단계: 교육 분야 각종 기초 정책연구의 수행 |
|
|||||||||||||||
∙2단계: 21C형 교육전문가 양성 체제 개발 |
∙2단계: 개인ㆍ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평가 역량 확충 |
||||||||||||||||
|
∙3단계: 교육현안 해결을 위한 적시 대응체제 구축 및 대안의 창출 |
|
|||||||||||||||
∙3단계: 차세대 교육학 연구 인력의 양성과 지식베이스 구축 |
∙3단계: 맞춤형 기관 컨설팅 시스템 구축 |
||||||||||||||||
∙4단계: 대전권역을 중심으로 국내ㆍ외 연구ㆍ개발 네트워크 구축 |
□ 중장기 발전 목표
교육학과는 중부권 사범교육의 거점센터를 지향하면서 아시아지역 사범교육의 메카로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고자 한다. 아울러 21C형 교육전문가 양성 체제 개발을 통해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전문가와 교육학 연구 인력을 양성하고, 교육 분야의 전문 지식을 지식베이스화 하여 교육정책분야에 있어서 주도적인 씽크탱크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또한 공시정보 분석체제,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평가체제, 맞춤형 컨설팅체제 구축을 통해 교육종합질관리 센터 설립을 추진할 것이다.
○ 목표 1: 21C형 교육전문가양성
▸ 중부권 종합교사양성대학으로 발전
▸ 21C형 교육전문가 양성 체제 개발
▸ 차세대 교육학 연구 인력의 양성과 지식베이스 구축
[과제 및 세부과제]
1. 중부권 종합교사양성대학으로 발전
- 「충남대학교 사범교육종합발전계획」 수립
- 대학원 수준의 교사양성기능 강화
- 양성 프로그램 평가 실시
2. 21C형 교육전문가 양성 체제 개발
- ‘21세기형 교육 전문가 양성’ 관련 기초 연구 수행
- 교육프로그램 및 관련 제도 정비
3. 차세대 교육학 연구 인력의 양성과 지식베이스 구축
- 대전지역 교육 기초 연구 네트워크 구축
- 지역 관련 기관과 협력 체제 구축
○ 목표 2: 교육정책 씽크탱크
▸ 교육 정책 연구ㆍ개발-적용-평가 기능의 유기적 수행으로 지방 교육 발전을 위한 모델케이스 창출
▸ 교내 연구 인력 및 인프라의 최적화 및 최대 활용으로 효율성 증대
▸ 대전시교육청과의 연계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으로 파급 효과 극대화
▸ 다원화된 고객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으로 산출물의 품질 강화
[과제 및 세부과제]
1. 지방 교육 발전 모델의 개발 및 제시
- 분권화시대 지방 교육 비전 및 중장기 전망 제시
- 대학-시도교육청 연계 모델 개발
- 시도교육청 교육 자치 기능 강화를 위한 주도적 정책 연구ㆍ개발 기능 수행
2. 교육 분야 각종 기초 정책 연구의 수행
- 교육과학기술부, 시도교육청 등이 발주한 정책 연구의 적극 수주
- 국내 유관기관 및 국제기구와의 협동 연구 강화
- 연구 산출물의 가공 및 홍보를 통한 파급 효과 증대
3. 교육 현안 해결을 위한 적시 대응 체제 구축 및 대안의 창출
- 정책 현안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 정책 현안에 대한 진단-분석-처방의 실시
- 정책 대안의 창출 및 정책 투입 기능의 강화
4. 대전 권역을 중심으로 국ㆍ내외 연구ㆍ개발 네트워크 구축
- MOU 체결을 통한 대전 권역 내부 관-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 국내 네트워크로 확대 구축
- 국제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 확대 구축
○ 목표 3: 교육종합질관리 센터
▸ 교육 정보 분석 및 교육측정 분야의 선도
▸ 교육 컨설팅을 통한 전문적 품질 관리
※ 교육과학기술부는 단위학교, 지역교육청, 시도교육청별로 학교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공시할 예정임. 이 정보내용에는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학교단위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예정임. 학업성취도에 대한 다양하고, 타당하며, 종합적인 분석 및 관리가 필요함.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개인, 단위학교, 지역교육청에서의 정책 수립, 질관리, 객관적 정보에 근거한 학생 지도가 가능케 함.
[과제 및 세부과제]
1. 정보 공시제 지원 체제 구축
- 기초연구 수행(예: 학업성취도 평가체제에 관한 연구,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학교 격차 등)
- 자료 집적 및 제공을 위한 기반 구축(예: 협약을 통한 DB 구축관리 방안)
- 자료 분석ㆍ가공 및 서비스 제공
- 평가 관련 전문 디지털 라이브러리 구축
2. 개인ㆍ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평가 역량 확충
- 교육기관 평가 지표 탐색
- 평가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 워크숍 및 단기 코스 개발 및 운영
- 주제별 전문가 초청 세미나 개최
- 해외 전문기관과의 연계 강화 (Center for Advanced Studies in Measurement and Assessment: CASMA 센터 등)
3. 맞춤형 기관 컨설팅 시스템 구축
- 학생 및 학교 수준 진단을 위한 평가 템플릿 개발
- 각종 평가(학생, 교원, 기관, 교육과정, 학생 상담 등)전담 인력 연수 제공
- 협약을 통한 학교 방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 추진 실적
교육학과는 2001년에 수립한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중장기 발전계획」을 기본으로 하여, 학과 경쟁력강화와 발전을 위한 노력을 전개해 왔다. 2001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일반대학 교육과 평가’에서는 이러한 본 학과의 노력을 인정받아 우수평가, 2006년도 중앙일보 ‘전국대학 교육학과 평가’에서 우수평가, 2007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일반대학 교육과 평가’ 최우수평가를 받았다. 또한 2010년도 및 2016년도 교육과학기술부의 3,4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의 ‘사범대학 교육학과 평가’에서 A등급을 받아 최우수평가를 받았다.
2013년도 중앙일보 ‘학과평가’ 중상등급, 2014년도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NCS기반 공업기술교원 양성제체 구축 사업단 선정, 2016년 교육인적자원부 ‘일반대학 교육과 평가’ 최우수 평가를 받았으며, BK21플러스 세계시민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단에 선정되었다.
2017년도~2018년도 충남대학교 “학분분야평가”에서 2년 연속 우수학과에 선정되었으며, 특히 2019년도에는 인문사회계열 1위로 “최우수상” 표창을 받았다. 2020년 BK21 FOUR 세계시민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단에 재선정되었다.
○ 학과 평가 실적
▸ 2001년도 교육인적자원부‘일반대학 교육과 평가’(1주기) 우수등급
▸ 2006년도 중앙일보‘전국대학 교육학과 평가’우수등급
▸ 2007년도 교육인적자원부‘일반대학 교육과 평가’(2주기) 최우수등급
▸ 2010년도 교육과학기술부‘사범대학 교육학과 평가’(3주기) A등급
▸ 2013년도 중앙일보 “2013년도 학과평가” 중상등급
▸ 2014년도 능력중심사회구현을 위한 NCS기반 공업기술교원 양성체제 구축 사업단 선정
▸ 2016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일반대학 교육과 평가’ (4주기) 최우수등급
▸ 2016년도 BK21플러스 세계시민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단 선정
▸ 2017~2018년도 충남대학교 “학문분야평가” 우수학과 선정
▸ 2019년도 충남대학교 “학문분야평가” 최우수학과 표창
▸ 2020년도 BK21 FOUR 세계시민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단 재선정
○ 발전 계획 수립 실적
▸ 2001년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 2004년 및 2005년 「교육학과 자체발전계획」 수립
▸ 2006년 「충남대학교 장기발전계획(VISION2015)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발전계획 및 전략을 수정·보완
▸ 2008년 대학경쟁력 강화사업 추진
▸ 2009년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중장기 비전 및 발전계획」 수정·보완
▸ 2009년~2020년 중장기 비전 및 발전계획에 따라 구체적인 「학과 발전계획」, 「학과 특성화 계획」을 지속적으로 수정·보완
▸ 2007~2020년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학문분야 자체평가 보고서를 작성
○ 교육과정 개선 실적
▸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사양성 방안과 학교교육과정 연구를 통한 교육과정 개선
▸ 사회적 변화와 교사 및 교육전문가에 대한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선
▸ 교수회의, 교수․학생간담회를 통한 제안을 반영한 교육과정 개선
▸ 학부과정 다양화
▸ 평생교육사, 도덕ㆍ윤리교사연계과정 등
▸ 과목 신설, 교육과정 운영 내규의 변경, 교과목 명칭 변경, 교과목 이수 구분 변경(~2020. 현재까지)
▸ 교육학개론(교직) 강좌 6개를 교육학과 전임교원 12명이 팀티칭 형태로 운영(2006년~2010년 교육과정)
▸ 대학원 과목인“교육의 심리적 기초”, “교육의 사회적 기초”등의 과목을 교육학 과 전임교원 2~3명이 팀티칭 형태로 운영(2017, 2019, 2020년 교육과정)
▸ 학부 교과목인 ”교육학논술“ 교과목을 교육학과 전임교원 11명이 2020년 2학기 에 팀티칭의 형태로 운영
○ 학과 특성화 노력 실적
▸ 중부권 종합교사양성대학 발전 추진
- 충남대학교 교원양성체제 개선 연구 수행 : 21세기 교원양성모형 개발(2006.1)
- 교육대학원 자체평가 및 발전계획에 본 학과의 발전계획의 기본 방향 반영 : ‘2005년 교육대학원 자체평가보고서’, ‘2005년 교육대학원 장기발전계획’
▸ 21C형 교육전문가 양성체제 개발 추진
- ‘21C형 교육전문가 양성체제 개발 기본계획’ 수립(1998. 11)
- 학부에 ‘평생교육사 과정’ 개설
- 대학원 수준에서 지역의 현장교육 전문가 교육 강화
▸ 교육학 연구 인력의 양성과 지식베이스 구축 추진
- 대전지역 교육 기초 연구 수행: 대전지역 교육만족도, 교육복지 등 연구수행
- 대전지역 교육봉사 활동: 대전지역 교육복지투자 사업 참여
▸‘대전교육종합질관리센터’설립 추진
- 설립 방안 수립(2001. 4. 4)
- 대전지역 교육의 종합적 질 관리 체제 연구
- 단위학교경영 효과성 평가 관리 체제 연구
- 대전지역 교육인적자원관리 정보체제 연구
- 교육정보기술의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지역 내 평생교육기관과 학교교육기관의 연계 방안 연구
- 사교육기관의 실태와 합리화 방안 연구
▸ 교육정책 씽크탱크 추진
- 지방교육재정 구조혁신방안 연구
- 교육정보화 정책 연구
- 한국고등교육평가원 설립을 위한 조직, 인력설계 및 정책과제에 관한 연구
□ 학과 발전 계획
|
|
|
21C형 교육을 선도하는 종합지원센터 |
|
|
|
|
|||||||||
|
|
|
|
|
|
|
|
|
|
|
|
|
||||
|
|
|
|
|
학과 발전 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학과 운영 |
|
교육 및 연구 |
|
학생지도 |
||||||||||||
지원체제의 재구조화 |
|
교육의수월성 및 연구력 강화 |
|
학생 질관리 체제 도입 |
||||||||||||
∙ 교육시설의 관리 및 운영 |
|
∙ 21C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 개편 |
|
∙ 학생 자치활동 및 복지 지원 |
||||||||||||
∙ 학과운영예산의 효율적 배정 |
|
∙ 교육연구소와 협력기능 강화 |
|
∙ 취업 및 진학지원 활동 |
||||||||||||
∙ 우수교수 초빙 |
|
∙ 산·학·연·관·군 협력교류 |
|
∙ 신·편입생 및 전과학생/외국인학생 적응 프로그램 |
||||||||||||
∙ 학과발전사업추진단 결성 |
|
∙ 교수업적 향상 |
|
□ 학과 발전 계획 추진 실적
○ 학과 운영
▸ 지원체제의 재구조화
- 교육시설의 관리 및 운영 : 2009년 3월 이학2호관에 사범대학 출범을 인하여 현재 인문대학에 위치하고 있는 교육학과의 공간 재배치 및 재조정 필요, 2017년 글로벌 인재양성센터 신축 건물로 이전
- 학과장의 협력적 리더쉽 강화
- 조교 및 연구조교의 업무분장 재배치
- 학과운영예산의 효율적 배정 시스템 구축
- 우수교수 초빙 : L. R. Homes 교수(미국 사우스다코타 주립대, 2006년)
Jennifer M. Lee 교수(미국 피츠버그대 Ph. D. 2004년~2007년)
- 학과 발전 사업 추진단 결성
○ 교육 및 연구
▸ 교육의 수월성 및 연구력 강화
- 21C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 개편 : 2009년 3월 사범대학 출범에 따른 교육과정 개편(2009~2020학년도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 복수전공, 부전공, 연계전공, 평생교육사 등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 팀티칭, 사이버 강의, 현장 학습 등 다양한 학습 방법 도입 :「교육학 개론」강좌를 교육학과 전임교원 12명 참여하여 진행, 2020년 2학기 현재 학부「교육학 논술」교과목을 교육학과 전임교원 11명이 참여하고, 대학원 「교육의 사회적 기초」교과목을 교육학과 전임교원 3명이 참여하여 팀티칭으로 운영.
- 2003~2020 강의교재개발, 2006학년도 2학기부터 2020년도 2학기까지 학부 및 대학원 강의의 일부를 팀티칭으로 운영
- 교육연구소와 협력기능 강화
- 산ㆍ학ㆍ연ㆍ관ㆍ군 협력교류
- 교수업적 향상 : 연구결과(과정)의 공유시스템을 구축, 연구과제별 책임교수제를 도입하였으며, 교수별 연구전담제 운영
- 교수협의회 개최 : 2004~2020까지 정기 및 수시 개최
○ 학생 지도
▸ 학생 질관리 체제 도입
- 학생 자치활동 및 복지 지원 : 교육학제 매년 지원
- 학생 학술활동 프로그램 강화 : 학술답사 매년 1회 1박 2일 시행, 학술행사(교육연극), 학술동아리 지도 및 운영
- 취업 및 진학지원 활동 : 지도교수제 운영 (매년 교수 1인당 6~7명), 2009학번 이후 입학자들의 경우 교육과정에 의거한 미래설계상담제 운영
- 신ㆍ편입생 및 전과학생 적응 프로그램 : 매월 정례모임 실시 및 수시 상담
- 신입생 오리엔테이션(백마생활백서) : 대학생활 안내
- GPS(Guiding star Program for Students)프로그램 운영 : 신입생이 대학생활 전반에 필요한 정보를, 교직원이 개인별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다양한 상담과 고충 해결 등을 지원
- 교육실습 현장 지도 및 독려
□ 학과 특성화 계획
|
|
|
|
|
교육학과 특성화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교원양성교육의 특성화 |
|
교육전문연구 및 교수요원 양성의 전문화 |
|
교수 연수의 전문화 |
|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국제화 |
|||||||||||||
∙다양한 교사양성 프로그램 개발 |
∙학업지도위원회 운영 |
∙교수해외연수기회 확대 |
∙복수학위제(Dual Degree Program)실시 |
||||||||||||||||
∙교직과정 및 교육대학원 교원양성 과정교육지원 강화 |
∙논문제출 자격기준 의 강화 |
||||||||||||||||||
∙국외 유명 대학과의 공동연구 프로젝트 개발 |
∙해외대학과 학점인정제도 실시 |
||||||||||||||||||
∙연구소 및 유관기 관과의 연계 강화 |
∙ 해외파견 프로그램 강화 |
||||||||||||||||||
∙통합 교육학부 실현 |
○ 「교육학과 특성화계획」을 「자체발전계획」에 포함하여 체계적 개선 노력 추진
교육학과의 「교육학과 자체발전계획」에는 별도로 본교 교사양성체제의 특수성, 대학원 교육이 강화되어 있는 특수성, 지역적 특수성, 그리고 21세기의 시대적 요구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특성화계획을 수립하여 학과발전계획의 일환으로 집중적인 노력을 전개하였다. 특성화계획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 학과 특성화 계획 추진 실적
▸ 교원양성교육의 특성화
- 복수전공, 연계전공, 평생교육사 과정 등 다양한 교사양성 프로그램 개발
- 교직부 및 교육대학원 발전계획 및 자체평가 참여
- 충남대학교 교원양성체제 개선 연구 수행 : 21세기 교원양성모형 개발(2006.1)
▸ 교육 전문 연구 및 교수요원 양성의 전문화
-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과 내규」 강화 : 2004년 9월 2차 개정, 2006년 9월 3차 개정, 2010년 1월 4차 개정, 2011년 12월 5차 개정, 2015년 1월 6차 개정, 2015년 4월 7차 개정, 2016년 1월 8차 개정, 2017년 12월 9차 개정, 2018년 2월 10차 개정, 2020년 5월 11차 개정
▸ 교수연수의 전문화
- 교수연찬회 실시: 내부연찬회(매년 1회 실시), 관련기관 연수 참여 장려
- 교수협의회 활성화
▸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국제화
- 국제교육실습 운영 : 연변사범대학
- 2016년 국제교육실습 MOU 체결 : 소주한국학교
- MOU체결 : Indonesia University of Education
- 외국인 교수 유치 :
1. L. R. Homes 교수(미국 사우스다코타 주립 대, 2006년)
2. Jennifer M. Lee 교수(미국 피츠버그대 Ph. D. 2004년 ~ 2007년)
: 외국인 교수 및 학과교수를 주축으로 매학기 영어강의 2~3개 강좌 개설
- 영어강의 확대 : 05년도 이후 영어강의 학기당 1개 이상 개설
- 아시아지역 교육문제 국제세미나 실시 : 교육연구소와 공동으로 실시(2001년부터)
- 세계시민교육 국제학술대회 개최 : 2016년~2019년 개최